무수히 겹쳐진 기억의 길

: 수인선 협궤철도와 소래염전 




인천과 안산을 잇는 그 노란색 전철 수인선이 아니다. 1933년에 개통해서 60여 년을 달리다가 1995년 12월 31일 폐선된 ‘그 수인선’이다. 수원에서 송도를 거쳐 인천항까지 열일곱 개의 간이역을 지나는 총 52킬로미터의 철도. 수인선이 특별한 이유는 협궤열차가 달렸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철도는 표준계를 선택하고 있어 철도 궤간이 1435mm지만 협궤는 말 그대로 폭이 좁은 762mm로 절반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협궤를 달리는 기차도 작고 좁았다. 사람들은 협궤열차를 ‘소철’ ‘작은철’ ‘꼬마철’이라고 불렀다. 

사라진 지 20년이 지나 다시금 궤도 위로 수인선 전철이 다닌다. 재빠르고 단단한 전철 위로 협궤열차의 추억이 겹쳐진다. 시발역인 수원에서 안산, 시흥을 거쳐 종착역인 인천까지 이어진 철도선은 삶의 선이요 감정의 선이다. 그 빈번한 삶을 결코 놓을 수 없다는 듯 열차는 다시 달린다.   








수인선은 경기 남서부의 여러 도시들을 이어주는 지리적 맥락도 중요하지만 좁고 느린 협궤열차 주변으로 펼쳐지는 독특하고 생경한 문화라는 문학적인 맥락도 빼놓을 수 없다. 윤후명의 소설 『협궤열차』는 1980년대의 경기 남부 일대를 보여준다. 당시 안산에 거주하던 소설가가 일상적으로 경험하던 수인선의 풍경이다. 황량하기 짝이 없는 서해안을 달리는 이 조그만 열차 안의 허무하도록 낙후된 풍경 너머로 흐린 안개처럼 급격한 도시화가 밀려온다. 역사도 역무원도 없는 간이역에서도 매일같이 푸성귀 보따리를 안고 장터로 가는 주민들이 있었고, 열차는 낚시꾼들이 낚은 생선 비린내와 어시장 건어물의 곰삭은 냄새가 뒤섞였다. 선로 위에서 아이들이 놀고 있으면 그 아이들이 비켜날 때까지 기다렸다던가 시동이 꺼지기라도 하면 손님들이 내려서 열차를 밀고 끌었다던가, 트럭하고 부딪혔는데 열차만 발라당 넘거갔다던가 하는 농담도 전설처럼 흘러나온다. 그 시절 도시의 풍경이 환상처럼 보였다는 소설가의 말처럼 수인선 협궤열차는 환상과 현실이 겹쳐지는 지점에 있다. 

평일엔 두 개의 열차로도 듬성듬성하던 열차가 주말이면 세 개의 열차를 꽉채우고도 서서 가는 사람들로 붐볐던 것은 소래포구로 나들이 가는 사람들이 많았기 때문이다. 평일엔 산업철도, 주말에는 관광철도인 셈이다. 바닷물이 들어오는 갯벌에는 붉은 이끼처럼 바다식물이 자라고, 퇴락한 염전은 하늘의 반사판처럼 눈부신 일몰을 그대로 비춰낸다. 이 낭만적인 풍경을 보러 연인들은 기꺼이 수원과 인천에서 수인선이라는 사랑 열차를 탔다. 


경기 남서부의 변화를 

목격한 열차 수인선


수인선은 조선경동철도주식회사가 추진한 사철로 1936년 5월 16일 기공식을 거쳤다. 이 회사는 1920년에 수원-여주를 오가는 수려선을 협궤선로로 개통한 전력이 있었기에 짧은 시간에 수인선 공사를 끝내고 1937년 8월 6일부터 정식 운행을 시작했다. 협궤철은 1930년대 전후로 산악지대를 통과하는 철로로 활용되었다. 북한 지역의 장진, 강계, 신응, 백무 등 산업철도에 주로 쓰였다. 남한 지역은 호남선에서 연결되는 함평선(궤간 1,067mm), 그리고 수려선이 전부다. 수려선과 수인선은 같은 회사로 같은 궤간의 선로와 열차를 이용했기 때문에 서로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었다. 수인선이 개통됨으로써 수려선에서 실려온 이천 여주지역의 쌀이 수원을 거쳐 인천항에 쌓일 수 있었다. 





수인선 역시 산업철도로, 자원수탈의 목적이 뚜렷하다. 군자, 소래 등 경기만의 염전에서 채취한 소금은 인천항으로 집결되거나 수원을 거쳐 부산항으로 실려간 다음 반출되었다. 수원은 당시 전국에서 몰려든 농산물이 넘쳐나 곡물창고를 설치할 정도로 농산물 집산처였다. 수려선, 수인선이 물류 유통에 숨통을 틔여주는 역할을 했음은 두말할 것도 없다. 

수원-고색–어천–일리-원곡-군자-소래-남동-송도-인천항의 10개 역과 그 사이 7개의 임시정류장이 생겨났다. 1944년에는 임시정류장인 성두역과 문학역이 사라지고 고잔 역과 연수역이 생겼다. 남인천과 송도 사이가 폐선된 1973년부터 수인선의 종착역은 송도가 되었고, 다시 1992년부터는 소래가 종착역이 되었다. 종점에서 종점까지 1시간 40~50분이 걸렸다. 광복 이후 적산으로 분류되어 오롯이 정부 소유가 된 수인선은 인력 물자 부족과 더불어 원래 수인선의 목적인 자원 수탈의 의미가 퇴색되면서 산업철도로서의 역할이 줄어들었다. 수인선이 달리는 동안 경기만의 물과 섬이 메워지고 염전이 시가지가 되었으며 촌락은 아파트 단지가 되었다. 수인선은 산업화와 도시화로 바뀌어가는 이 땅의 개발 역사를 고스란히 목격했다.


다시 수인선, 

기억을 연결하다


재개통한 수인선 전철은 인천역에서 출발한다. 지상과 지하를 넘나들며 옛 수인선 노선을 흝으며 안산 시내로 쑤욱 들어온 안산선 전철과 겹쳐진다. 오랫동안 주민들의 삶에 그어진 선은 여전히 살아있다. 삶이 연결되고 기억이 이어진다. 






누군가의 얇은 기억처럼 땅 위에도 수인선의 흐릿한 흔적들이 남아있다. 수원역 부근의 두 채의 급수탑이 가장 먼저다. 붉은 벽돌로 된 것과 콘크리트로 된 것이 있는데 키만 다를 뿐 구조는 유사하다. 증기기관차에 물을 공급하던 급수탑으로 이 주변으로 물탱크와 배수관들이 있어야 마땅하지만 지금은 찾을 수 없다. 붉은 벽돌로 된 키낮은 급수탑이 협궤용이 아닐까 추측한다. 급수탑 근처에 수인선 협궤역사가 있었으나 폐선된 후 철거되었다. 수원역을 출발한 협궤 열차는 가속을 위해 완만한 경사지를 크게 돌면서 경부선과 직교하며 수원비행장 옆을 지나 인천으로 달려갔다. 굴곡진 협궤 선로의 흔적은 수원 세류공원에 남아있다. 실제 선로 대신 선로의 크기를 가늠할 수 있도록 보도블럭을 깔고 그 앞에 협궤열차를 이해할 수 있는 모형이 전시되어 있다. 실제로 남아있는 협궤를 보려면 고잔역 인근에 있는 협궤열차길을 방문하면 된다. 고가전철의 위용이 교차하는 가운데 협궤의 소박한 흔적이 마치 누군가의 기억을 소환하듯 뻗어있다. 


지금은 인도교가 되어버린 소래철교를 바라보며 아쉬웠던 마음은 종착역인 송도역에서 절정에 이른다. 임시정류장을 포함해서 열일곱 개 역사 중 남아있는 유일한 역사지만 폐역 이후 창고로 사용된 탓에 내외부에 변형이 많다. 송도역 삼거리라는 지명이 알려주듯 당시에는 도시의 랜드마크였다. 당시 사진과 대조해보면 건물의 형태는 남아있음을 알 수 있다. 역사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금속으로 된 급수탑이 빨갛게 녹슬어간다. 땅 위의 기억은 약간 비켜난 채로 공존하고 있다.



포구와 염전, 

비린내 나는 삶의 적층 


“종점까지.” 돈을 디밀자 기차표와 거스름돈이 나왔다. 행선지는 수원이었다. 인천에서 수원까지, 선로가 좁고 기차도 작은 수인선이었다. 사람들이 말하는 기동차에 영광과 양현을 올라탔다. 삐이!하고 내지르는 기적소리와 함께 기동차는 움직였다. 두 사람은 마치 오랜 유랑길을 끝낸 것처럼 안도의 숨을 내쉬며 서로를 바라본다. 

서해의 끝없는 개펄, 그리고 아득하게 펼쳐져있는 염전, 두 사람은 다 같이 처음 보는 풍경이었다. 왠지 모르게 지구 끝을 작은 기차가 달리고 있는 것 같은 느낌이었다. 


박경리의 소설 『토지』에도 수인선에서 바라보는 염전 풍경이 등장한다. 이 대목은 주안염전을 관리하는 임무를 맡은 남편을 따라 부임지로 이사온 통영 새댁 박금이(박경리 선생의 본명)의 진솔한 경험이 틀림없으리라. 






주안염전은 우리나라 천일염 역사의 시작이다. 1907년 주안염전에서 시작되어 광양, 군자 등에 염전이 생겨났다. 거대한 만입으로 내륙 깊숙이 해수가 유입되는 소래 군자 일대는 염전 조성의 적지였다. 소금은 생필품인 동시에 화약제조에 필요한 군수품으로 쓰였기 때문에 총독부에서 독점적으로 관할했다. 일제강점기에는 한반도에 7,089정보의 염전이 축조되었다. 그 중 소래와 남동, 군자에 각각 549정보, 300정보, 603정보의 염전이 생겨났다. 지금의 시흥 정왕동 일대에 1924년에 축조된 군자 염전은 1935년 소래 염전으로 확대되었다. 

지금은 생태공원으로 바뀐 소래 염전 주변에 몇 채의 목재창고들은 발견할 수 있다. 이들은 염전 결정지에서 생긴 천일염을 보관하던 창고다. 염전 주변에 소금창고 외에도 염부들이 머무는 주거공간, 도구를 보관하는 창고와 부속 건물들이 있었지만 남은 것은 창고뿐이다. 소금창고는 독특하게도 벽면이 경사를 이룬다. 자루에 넣지 않고 소금산처럼 쌓아두고서 간수를 빼기 때문에 소금이 가장자리로 흘러내릴 때 그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다. 외부는 콜타르로 방수처리해서 시커멓게 보인다. 지면은 벽체가 닿는 부분은 갯벌흙을 쌓아 목재 벽이 젖는 것을 막는다. 개흙은 물이 닿으면 염분으로 인해 더욱 단단해진다고 한다.  








시흥과 소래에 펼쳐져있던 소래 염전은 1935년 당시의 소금창고를 비롯해서 40여 채의 소금창고가 역사 문화적 흔적을 온몸에 지닌 채 서있었지만 2008년 문화재 등록을 앞두고 관리처에서 모두 철거해버린 사건이 있었다. 시흥 갯골생태공원과 소래습지생태 공원화과정에서 생긴 일이다. 시민들의 항의와 촉구로 소유자는 훼손된 창고 20채를 새로 복원했다. 등록문화재 예고 당시의 목재들을 대부분 이용해서 복원했다고는 하지만 한번 훼손된 건물은 문화재로 보호받을 수 없게 되었다. ‘엄마 없는 하늘아래’에서 발로 수차를 돌리며 몸이 부서져라 일했던 아버지를 보며 눈물 쏟았던 세대라면 소래 염전을 방문해야한다. 바로 이곳을 배경으로 찍은 영화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