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사진축제에 사진을 출품해보세요!" 




얼마전에 서울사진축제에서 시민답사를 기획하는 H씨와 만났습니다. 답사 프로그램 하나를 준비하기로 하고서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는 와중에 시민 사진을 응모하는 부문에 참여해보라고 했습니다. "1880년에서 1980년 사이의 서울의 나들이 사진"이면 가능하다며, 조선호텔 숙식권 등등의 훌륭한 부상이 기다리고 있으니 한번 도전해보라고 말이죠. 부상에 눈이 어두우려는 찰나, 나는 부산 출신이며 1997년에야 비로소 서울이라는 땅을 밟아보았다는 엄연한 사실이 떠올랐습니다. 그랬더니 H씨가 말합니다. 


"부모님 사진이면 더 좋죠! 옛날 사진이요!"





그리하여 시부모님이 찍으신 사진들 중에 재미난 게 있지 않을까 하고, 장롱을 뒤지게 되었습니다. 예상보다 서울의 장소가 뒷배경으로 등장하는 사진이 별로 없었습니다. 대부분의 사진은 실내에서 찍혔고, 야외에서 찍은 것은 교외로 나들이갈 때였기 떄문이지요. 지금처럼 카메라가 장착된 스마트폰이 아니었으므로, 사진은 특별한 날, 특별한 시간을 기록하고 기념하는 수단이었습니다. 한때 카메라가 얼마나 귀한 물건이었던지요. 


옛 사진을 들추며 이야기 하는 시간을 꽤 즐거웠습니다. 부모님의 60년대 초반의 결혼식 사진이나 뭔가 자신만만한 포즈를 하고 있는 등장인물의 사연을 들으며 웃을 수 있었지요. 이 겹겹의 시간들은 사라지지 않고 어디엔가 모여있지 않을까, 싶을 정도로 생생한 이야기였습니다. 




시아버님이 결혼 전 서울에서 대학생활을 할 때 찍은 캠퍼스의 일상들이 아주 조그만 사진 속에서 펼쳐집니다. 1950년대의 대학생들의 모습이었습니다. 그러다 고향 부여에서 친구들이나 친지들이 서울나들이하러 왔을 때 창경원과 종로와 중앙청을 구경하면서 사진을 찍었다고 합니다. 아버님은 옛 사진이 불러일으키는 옛 기억에 흐뭇해지셨습니다. 사진 속 인물들 중에는 연락이 되지 않는 사람도 있고 돌아간 분들도 있습니다. 오래된 사연이 깊숙이 숨겨진 기억저장소에서 뛰쳐나옵니다. 아, 그런 일이 있었지. 아버님은 예의 허허 웃으시고요. 


이십대로 잠시 돌아가셨을까요? '학우'라고만 짧게 설명해주신 그 단발머리 여학생을 떠올리셨을까요? 



저는 그 중에서 한 장을 골라 아버님의 사연을 적어 응모해보았습니다. 얼마 후, 담당자로부터 사진이 전시장에 걸릴 것이며, 도록에 실릴 것이니 전시장을 방문해달라는 연락을 받았습니다. 









서울사진축제의 본전시는 아카이브 사진들로 채워져있습니다. 한성-경성-서울로 변모하는 동안 도시의 변화를 보여주는 풍경들이 사진에 담겨있습니다. 사진은 시정을 홍보하기에 좋은 수단이었으며 스펙터클한 장면을 작은 화면에 담음으로써 편집된 시각을 드러내기도 합니다. 그러므로, 사진은 사실된 모습을 기록하는 장치인 동시에, 왜곡된 관점을 심어주기에도 좋은 물건이었습니다. 




사진 속에는 점점 더 정교해지는 도시가 담깁니다. 낡은 것을 허물고 규격화된 고층건물들이 심어지는 과정과 놀랄만큼 거대한 것들이 이식되는 것이 곧 발전하는 도시라는 공식을 그대로 보여줍니다. 그러므로 사진은 놀랄만한 수단이면서도 절대적으로 믿어서는 곤란한 것들입니다. 과거 백년 동안 '서울'이라는 도시는 기념비의 도시였습니다. 경성시대뿐만 아니라, 경제개발5개년계획을 시행하던 60-70년대의 서울의 풍경 또한 그러했습니다. 온갖 동상이 세워지고 모노리스를 방불케하는 숱한 고층건물들이 자리잡으면서 끊임없이 솟아오르고 끊임없이 확장하는 무한의 도시였습니다. 


나는 이 사진들을 보면서 높은 것들 아래에 가려진 그림자 속의 삶에 대해서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나의 서울은, 꽃처럼 아름답고 정교하고 새로운 반면, 늘 분열하고 불안하고 저항하고 눈물을 흘리던 곳이기 떄문이지요. 

  



     











옛 조선총독부 청사의 철거 과정이 시기순으로 담겨있습니다. 1996년의 일이었지요. 

 총독부 청사의 기억은 나에게는 전무합니다. 하지만, 아래의 건물은 나의 기억에도 뚜렷합니다. 








남산 외인 아파트의 철거장면입니다. 두 동의 아파트가 풀썩 풀썩하고 무너져내렸던 그 장면을 텔레비전으로 생중계했던 것이지요. 그 기술이 그 당시 아주 획기적인 것이었다고 들었던 것 같습니다. 1994년의 일이었습니다. 



















이번 행사에는 관광과 여가의 장면이 자주 포착됩니다. 대표적인 것이 창경원이군요. 창경궁이 동물원과 식물원, 박물관을 삽입하면서 궁궐에서 정원으로 바뀌었던 시절부터, 다시금 궁궐로 되돌려지던 1984년까지 이 장소는 밤이건 낮이건 시민들의 여가를 위해 존재했습니다. 


사진들을 보면, 없었던 건물이 생겨나고 묘한 형태로 바뀌었다가, 놀이공원의 위락시설까지 생겨나 휘황찬란했던 시절이 고스란히 드러납니다. 

지금의 시각으로는 아연할 수밖에 없지만, 한때 그곳은 밤벚꽃놀이로 인산인해를 이루었고 월드컵 쇼에 등장하는 나신의 무희를 보려고 사람들이 밀려들었지요. 1984년 궁궐의 옛 모습을 회복하기 위해 일제강점기 이후에 삽입된 건물들은 모두 철거되었고(대온실을 제외하고) 벚나무 등 외래종 식물을 제거하고 전통수목들로 채웠습니다. 춘당지도 본래의 모습으로 되돌아왔습니다. 

  







처음 보는 건물 하나를 발견했습니다. 이왕가박물관이 등장한 이후 근처에 1915년에 귀한 왕실 서책들을 보관하던 장서각으로 세워졌다고 합니다. 1938년에 덕수궁 미술관이 지어져 이왕가미술관으로 개칭되면서, 원래 이왕가 박물관 건물(1911년 건립)로 장서각의 서가가 옮겨가고, 이 건물은 생물표본관으로 사용했다고 합니다. 1984년 궁궐 복원 사업이 진행되면서 철거된 건물 중 하나입니다. 


상당히 이질적인 건물이기도 하지만, 건물의 형태가 워낙 독특하여 관광지 사진사들이 이 건물 앞에서 사진을 많이 찍어주었던가 봅니다. 


그러고보니 그 시절에는 관광지마다 사진사가 있었지요..








시민들이참여한 사진들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그 오래된 사진 속에는 도시의 풍경이 마치 지금의 것처럼 생생하게 담겨있습니다. 모든 시간마다 장소들은 인물들과 생생하게 소통하고 있습니다. 남산식물원 앞에서 시간차를 두고 사진을 찍은 사람들의 사진을 봅니다. 그 기억들이 과거의 것으로 사라져버린 게 아니라는 것을 우리는 대번에 알아챕니다. 홀연히 나타나 바로 어제의 일인양 존재합니다. 


사진은 영화 <인터스텔라>의 블랙홀과 같은 것일까요?  단숨에 수십년 전의 그곳으로 우리를 데려가니 말입니다. 








여기, 사진이 있습니다. 누군가의 사적인 기록이 공공의 영역으로 편입됩니다. 그의 기록은 도시의 역사를 말하는 공공의 기록이 됩니다. 옛 사진 한장이 50년 후에는 엄연한 사료로서 가치를 가지게 됩니다. 그러므로 우리 모두는 역사의 증인들입니다. 우리 모두의 기록은 그만큼 중요한 가치를 가지게 될 것입니다. 



사진을 들여다봅니다. 이십대 후반의 청년들이 서울시청 앞 광장에 서있습니다. 뒤로는 정동 성공회성당이 보입니다. 그 양옆으로 이상한 건물이 서있습니다. 왼쪽에는 덕수궁이 있을 것이며, 돌담길이 이어지겠지요. 1962년 혹은 1963년, 아니면 1964년... 서울시청 앞 풍경은 이랬습니다. 그 사진 속에 영원히 젊은 사람들이 있습니다. 자신감이 넘쳤던 재건시대의 청년들, 그들이 보았던 서울은 어땠을까요?


그때의 서울은 안녕한가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