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와 미래를 질문하는 장소, 

학교에 가다 





변화무쌍한 도시에 살면서 옛 건물을 이야기한다는 것, 과연 어떤 의미가 있을까? ‘내가 오랜 시간을 보낸 장소들을 그대로 지속시키자’라고 한다면, 이 오래된 건축물에 좀 더 살가운 애정을 기울일 수 있을까? 인간은 과거와 절연한 채 살아갈 수 없다. 과거, 현재, 미래는 연속선상에 있고 그 어떤 부분도 단절되어서는 온전하지 못하다. 경험으로 축적해온 지난 시간들이 실존했음을 확인할 수 없을 때 우리는 고독해진다. 기억을 증명하는 것은 장소와 사물, 사람이다. 우리가 거대한 뿌리를 갖고 있으며 그러므로 외롭지 않아도 된다고, 앞으로 나아가도 된다고 말해주는 것들이다. 안타깝게도 살아오면서 우리가 자주 버렸던 것들이기도 하다. 사는 게 다 그렇지, 하면서 잊어버렸던 것들.





인천 창영 초등학교







이번에는 학교를 다녀왔다. 우리 모두가 공통적으로 짧거나 길게 몸담았던 장소다. 특히, 초등학교를 다녔던 시절의 기억은 무척 따스하고 달콤한 빛을 띈다. 흙모래가 깔린 넓고 평평한 운동장, 낮은 책상과 걸상(의자가 아니라 걸상이라 했다.), 천리 먼길처럼 느껴졌던 등하굣길, 좁고 어두컴컴하지만 별별 것들이 다 있던 문구점과 구멍가게 같은 것들이 떠오른다. 하루가 다르게 성장했던 시절이다. 

두 번 전학을 한 나는 모두 세 곳의 초등학교를 다녔는데, 학교 건물은 모두 비슷했다. 첫 번째는 ‘ㅡ’자형, 두 번째는 ‘ㄱ’자형 세 번째는 ‘ㄷ’자형이었지만, 이층짜리 박스형 건물에 격자형 창문이 있고 운동장 주변으로 국기게양대와 조례대, 스탠드가 있었다. 매주 월요일 아침이면 전교조례가 열려 국기에 대한 맹세, 애국가 제창, 교장선생님 말씀 등의 행사가 이어졌다. 그땐 초등학교가 아니라 일제의 잔재로 남아있던 초등학교라는 명칭이었다. 

지난여름, 개교 백년을 바라보는 내 모교를 찾았다가 적잖이 놀라고 실망한 기억이 있다. 하필 방문했던 그날, 교사를 신축하느라 대형 공사차량들이 바쁘게 오가며 먼지를 풍겼다. 아무리 둘러봐도 기억 속의 학교는 흔적도 없었다. 학생들은 컨테이너로 만든 임시교사에서 수업을 받고 있었다. 학교 주변은 오래전 기억대로 그다지 변한 것이 없는데, 정작 학교는 더 새롭고 넓고 크게 변모하고 있었다. 과거가 도려내진 듯한 쓸쓸함이 밀려왔다. 그곳에서 21세기의 아이들이 새로운 기억을 만들어가고 있었다. 




백년을 가뿐하게 

뛰어넘은 학교들



경기도의 수많은 학교들 중 오래된 교사를 유지하는 곳은 어디일까? 인천 배다리에는 오래된 학교가 두 군데나 있다. 1892년에 설립된 영화초등학교(당시 영화학교)와 1907년에 개교한 창영초등학교(인천공립보통학교)다. 1894년 갑오개혁으로 시행된 근대적 제도에 따라 정부는 전국적으로 공립초등학교를 열었고, 민간 사업가의 민족학교, 선교사가 세운 미션스쿨들도 곳곳에서 문을 열었다. 영화학교는 인천지역 최초로 생겨난 교육기관이며 미국 여선교사 존스 부인이 여학생 교육을 위해 설립한 곳이다. 최초의 학생은 단 한명이었으나 이후 학생수를 늘렸고, 지금의 장소에 1911년 벽돌조의 교사를 신축하여 정식학교로 인가를 받고 유치원도 설립했다. 두 개 층은 교사로 쓰고 지붕 밑 3층은 예배실이었다. 일제강점기와 재건시대를 거치며 교명과 학제가 끊임없이 바뀌었고, 지금의 이름을 갖게 된 것은 1996년이다. 2000년에는 교사를 신축했다. 새 교사 역시 붉은 벽돌의 잔잔한 분위기를 이었다. 옛 교사는 인천시 유형문화재 제39호로 지정되었다. 




옛 인천영화학교




수원 삼일중학교 아담스 기념관




바로 근처에 창영초등학교가 있다. 1924년에 지어진 고풍스런 적벽돌 교사가 눈에 띈다.  ‘ㅡ’자형 이층건물로 맞배지붕을 올렸다. 1층은 아치형 창문, 2층은 직사각형 창문으로 모양을 냈고 창문 주위는 화강석으로 장식했다. 지붕에는 도머창이 근사하게 남아있다. 개교 백주년 기념탑이 학교의 역사를 짐작케한다. 이 학교는 인천 지역의 3.1만세운동 발상지로도 유서깊은 곳이다. 인천시 유형문화재(제16호)로 지정된 옛 교사는 특별교실과 동아리실, 학교 역사관으로 사용되고 있고, 수업은 새 건물에서 진행된다. 벽돌조 공립보통학교는 1920년대 처음 등장했고 부산과 평양 등지에도 이곳과 닮은 교사가 지어졌다. 10년대 목조와 30년대 콘크리트조 등 시기별로 교사 건축이 달라졌다. 

수원 삼일중학교도 깊은 역사를 자랑하는 옛 교사를 도서관으로 사용하고 있다. 삼일중학교는 1902년 개신교 미션스쿨인 삼일학교로 시작, 1923년 새 교사를 지으면서 수원 매향동에 자리잡았다. 미국 아담스교회의 후원으로 지어져 아담스 기념관으로 불리는 이 건물도 아름다운 적벽돌 건축물이다. 수업은 뒤편에 세워진 신교사에서 이루어지며 행정동, 강당동 등 세 채의 건물 모두 아담스 기념관의 분위기를 이어받았다. 1884년부터 1910년까지 기독교계 학교는 768개에 달했다. 종교인을 양성하는 데도 목적이 있었지만 교양인을 형성하기 위해 다양한 교육을 실시했다. 낯설고 아름다운 서양식 건축물이 지금은 사라진 시대를 부르며 오래된 이야기를 들려준다. 





근대건축이면서도 

보호받지 못하는 학교건축



2004년 정리된 ‘경기도 근대문화유산 조사 및 목록화보고서’는 학교건축을 주요하게 다루고 있다. 경기권에서 조사된 초•중•고등학교 교사는 43건이며, 그중 28건이 교사, 창고, 강당 등 학교시설로 계속 사용되고 있었다. 12년이 지난 지금 이들 교사는 증축과 신축이 활발히 이루어졌고 폐교되거나 휴교된 학교도 몇몇 되었다. 그 이유는 재개발이었다. 신도시 이식을 위해 오랫동안 살던 마을을 남김없이 밀어버리는 마당에 오래된 학교가 남아있을 리 만무했다. 학교는 사회적 변화에 대단히 민감한 장소다. 특히 60~70년대 문교부 표준설계에 따라 지어진 학교 교사들은 건축사적으로 의미 있는 곳이지만 보호받지 못하는 건축물이다. 

베이비붐세대의 초등교육이 시작된 1960년대는 학교의 재건기였다. 의무교육이 시작되고, 시도 교육위원회가 등장했으며 교육헌장이 발표되었다. 학교는 각 시도 교육위가 제시하는 표준설계에 따라 지어졌다. 보통 철근콘크리트조로 된 2~4층 규모로 중앙현관과 계단실 주변으로 교실이 배치되고 양 끝으로 계단실이 놓였다. 평슬라브로 지붕을 처리한 박스형태가 많았는데, 이는 학생수가 늘어나 증축해야할 상황을 고려한 것이다. 교실 크기, 각종 시설의 규모, 운동장 등 설비 지침은 1969년 제정된 학교시설 설비기준령이 적용되었다.(수차례 개정이 이루어졌다.) 1986년 이후에는 엄격하게 적용되던 표준설계를 폐기하고, 학교마다 다양한 디자인을 적용한 교사가 등장했다. 





구리 인창초등학교 



성남 왕남초등학교 








보고서에 수록된 학교 중 1960년대 문교부 표준설계도에 따른 전형적인 학교건축물로 소개된 왕남초등학교와 구리시의 유서 깊은 인창초등학교(1921년 개교)를 방문했다. 성남시 고등동의 왕남초등학교는 고등지구가 재개발로 흔적도 없이 사라진 터에 홀로 남아있었다. 1960년대의 설계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던 교사를 허물고 2010년 병설유치원과 함께 신축교사를 재건축한 상태였다. 그러나 6년이 지난 지금 마을은 재개발로 사라졌고 쓸쓸하게 남아있는 학교는 주변의 어수선한 상황 속에서도 내년도 학사 일정을 진행하고 있었다. 이 학교의 오랜 자랑거리였던 은행나무는 신축 후에도 그 자리를 지키고 있으나 풍성한 잎사귀를 기대하기 어려울 정도로 가지가 잘려나가 있었다. 어린이 인구가 줄어드는 현재, 옛 교사를 유지하는 차원이 아니라 학교의 존립마저도 위태로운 것이 지금의 학교상황임을 여실히 느꼈다. 그러나, 70년의 역사를 간직한 학교다. 학교의 첫 졸업생인 팔순 어르신이 찾아온 적이 있다는 경비 아저씨의 이야기가 마음에 남는다.      







구리 인창초등학교 역시 교사의 변화가 많았다. 인창초등학교는 1921년 사립 망우학교를 편입하여 인창공립보통학교로 개교했다. 4년제 4학급의 조촐한 시작이었지만, 구리 지역의 유일한 교육기관이었다. 그동안 성장을 거듭하여 토평, 구리 등 여러 초등학교를 분리 개교시킨 공신이기도 하다. 두 동의 목조 교사가 운동장을 공유하며 ‘ㄱ’자로 이어져 있던 초기 학교의 배치 그대로 3층의 콘크리트 교사가 그 자리를 대신한 채로 학교의 역사는 이어져왔다. 1970년대에 지어진 교사동은 창호, 벽체, 바닥 등을 지속적으로 보수하며 지금에 이르렀다. 

교사는 다양한 변화를 거쳤지만, 정원에 세워진 기념비와 조각상은 과거의 어느 시대를 박제한 듯 끌어안고 있었다. 어느 학교에나 있다는 세종대왕상과 국민교육헌장비, 어린이헌장이 적힌 소파 방정환 선생의 동상, 연대가 다른 졸업생들이 그때그때 기증한 조각상과 기념비들이 학교앞 정원을 채웠다. 그 중에는 반공 교육이 강화되었던 시기에 세워졌던 이승복 어린이상도 있었다. 평화의 비둘기와 함께 서있는 이 어린이는 과연 지금 소년소녀들에게 어떤 메시지를 줄 수 있을까? 운동장 한쪽에는 세월호를 기리는 노란 리본 장식이 선명하다. 


운동장에서 뛰고 노는 아이들이 소리 높여 웃었다. 한 아이가 나에게 빙긋 웃어보였다. 

우리의 미래가 다가와 이렇게 말했다. “안녕하세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