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곳곳을 산보하고 다니느라 그동안 인천으로 향하는 발걸음이 뜸했다. 오랜만에 걸어보는 개항장은 익숙한 듯하면서도 조금씩 조금씩 달라져있었다. 인천이라는 도시는 매력이 있다. 개항장이며 항구라는 조건은 내가 유년을 보낸 부산과도 닮았고, 점점 낡아가는 풍경들과 그것을 지키려고도 없애려고도 하지 않는 무심함이 있다. 구도심은 한산하다. 오래된 주택가에는 사람이 사나 싶을 정도로 고요하다. 국제공항을 짓고 바다를 매립하여 새로운 도시를 만들고 수도권을 가로지르는 모든 철로들이 이어지도록 길을 뚫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천은 여전히 공허함을 감추고 있다. 


인천만큼 바람이 잘 어울리는 곳이 또 있을까? 그러나 인천의 바람에는 바다도시 특유의 소금기가 없이 습하다.

 


인천 사람들은 어떤 사람들인가, 나는 잘 모르겠다. 어느 지역 사람은 속을 감추고 있고 어느 지역 사람은 화통하고 어느 지역 사람의 말은 도무지 알아듣기가 힘들다고도 하는데, 인천 사람들은? 개항장 장사꾼들이 한 세월을 뜨겁게 달군 도시답게 빠르고 눙치고 의뭉스럽고 수다스럽고 활력있고 쾌활하고 그리고 일을 잘 벌리고 돈을 잘 벌고.... 그런 사람들일까. 



나는 또 여행자가 되어 인천을 걸었다. 중구청 주변에 있는 일식가옥이 갤러리로 바뀌었다는 소식을 듣고 개관일에 구경을 갔던 것이다. 이 장소의 이름은 <관동갤러리>다. 원래 이 동네 이름이 관사들이 많아서 관동이었단다. 옛 역사를 겨우겨우 이어가던 길조차도 엉뚱한 이름으로 강제로 바뀌었는데, 본래의 이름을 회복해가는 한편, 점차 사라지고 있는 오래된 일식 가옥을 옛 모습대로 기꺼이 품어내려는 사람들이 있었다. 










갤러리 구경에 나섰다. 이 집은 나가야라는 형식의 집이다. 적게는 2~3채에서 많게는 5~6채의 집이 하나의 지붕을 공유하며 나란히 이어져있는 연립주택 형식의 일본식 가옥이다. 이 집은 전면에 보이는 규모는 작지만 뒤쪽으로 길쭉하게 뻗어있다. 뒤쪽에는 지붕 사이의 공간으로 빛도 들어오고 뒷채로 연결되어 있어 공간이 재미있다. 


이 집은 관동이라는 이름에 어울리게 관사로 지어진 것으로 6채가 하나로 연결되어 있었다. 당시 인천부청에 근무자들을 위한 관사였으리라고 짐작한다. 집의 연대에 대해서도 재미난 일화가 있다. 지붕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한꺼번에 지어진 집일텐데도 집마다 신축연대가 1939, 1941년 등 다르게 적혀있었다고 한다. 이 지역의 다른 나가야의 집은 상량문에 1932년이라고 되어있는 한편, 교토대학교에 있는 인천지도에는 1930년에 이미 이 6채의 나가야가 버젓이 그려져있었다고 한다. 그런 와중에 작은 보에 붙여진 신문지를 발견했는데, 대정13년(1924년)에 발행된 경성일보였단다. 십여년 전의 신문을 붙일 리는 없으므로 대략 일년전이라고만 해도 1925년 정도로 추정할 수 있지 않나,라고 집주인은 판단하고 있다.  


집주인은 갤러리 옆 주택을 구입해서 살림집으로 쓰다가 다시 옆집을 매입하여 갤러리로 리노베이션을 했다. 두 주택은 1층과 3층을 서로 공유하면서 부족한 부분과 넘치는 부분을 주고받는다. 주택 리노베이션은 한양대 도미이 마사노리 교수가 맡았다. '일식주택 재생프로젝트'로 나가야 주택의 매력을 자유롭게 표현해보고 싶었다고 한다. 도미이 교수는 원래대로 복원하는 것보다는 나가야 건축의 재미있는 요소를 최대한 활용하는 것으로 집의 개축방향을 잡았다. 


집이 서로 관통하면서, 메자닌층을 연결되고 트이고 좁히며 다채로운 공간이 연결되었다. 원래의 집에 시멘트로 덕지덕지 붙어있는 벽들이 많았다. 그러나, 그 벽들도 그대로 남겨두었다. 8~90년 동안 변화된 모습을 애써 없애지 않았다. 건물 뒤쪽에는 또다른 공간이 연결된다. 게스트룸과 부대시설로 이용한다.  







지붕을 공유하는 나가야주택의 중간채 두 채를 이어붙였다. (관동갤러리 리플렛에서 사용)






이 집의 변화와 함께 들여다볼만한 장소는 중구청 왼쪽편에 있는 카페 팟알이다. 이 건물은 1880년대 말에 지어진 일식 사무실 건물이며 1층은 상점이나 사무실로 쓰고 윗층은 살림집인 형태다. 개인 소유주가 건물을 사들여 리노베이션했다. 처음에는 흰색 몸체에 파란색 지붕을 덮고 선 살림집이었다. 리노베이션을 하면서 최대한 원래의 모습을 찾아간 것이다. 






     ------>       
















팟알이 리노베이션을 끝내고 오픈했을 때, 의아한 마음이 컸었다. 이 길을 지나다니면서 흥미로웠던 주택인지라 재미나게 변화하길 바랬던 것이다. 그런데, 원형을 찾아 복원에 이른 결론이 '덜 재밌게' 느껴졌던 것이다. 방문했던 날, 건물 리노베이션에 참가한 건축가와 자문을 맡았던 교수님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원래는 완전히 새롭게 공간을 변화하는 것으로 제안했으나 건물의 중요성을 들어 원형찾기에 도전해보는 것으로 방향을 바꾸었다는 것이다. 이 건물은 인천에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건물 중 하나다. 건물의 연혁과 역사가 온전히 드러날 수 있도록 고증하고 복원하는 일이 더 중요하다고 판단한 것이다. 이 건물은 지금 등록문화재 제567로 등재되었다. 만약 다른 식으로 리노베이션을 했다면 건물의 운명은 완전히 달라졌을 것이다. 


관동갤러리가 선택한 방식과는 분명 차이가 있다. 


옛 건물을 바라보는 방식, 이 건물을 현대화하는 방식에 하나의 기준만 있는 것은 아니다. 건물에 의미를 담는 방식도 개개인의 삶에 따라 달라진다. 변함없는 것은 건물이 사용자의 생활과 밀접하다는 것뿐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