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문화유산 답사란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지닌 특정한 건물을 보는 일일수도 있고, 어떤 역사적 사건이 벌어진 장소를 말하기도 하고, 또, 조망할 필요가 있는 인물들이 머물던 장소를 가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어떤 길을 지나다가 우연히 아주 오래되고 기묘한 형태의 이상한 분위기를 풍기는 건물을, 그야말로 우연히 발견하고서, 도대체 저건 무엇이며 언제부터 이곳에 있었을까, 어떤 일이 벌어졌을까, 궁금해지기도 합니다. 

나에게는 그런 호기심이 문화유산 답사의 시작이 아닐까 싶습니다. 알고 싶어서 시작하게 된 답사는 어느 순간, 이번엔 무엇이 나를 기다리고 있을까, 하는 기대감으로 바뀝니다. 










다섯번째 용산답사는 구용산으로 분류된 지역으로 '원효로 일대'를 돌아보았습니다. 



보통 용산이라고 하면, 용산역의 동쪽 넓은 지역을 연상하게 되는데, 원래 용산은 한강변에 있는 산의 이름이었습니다. 높지는 않으나 한강이 내려다보여 경치가 좋은 곳이었지요. 철도가 생겨나 용산역 동측이 신용산으로 개발되면서 어떨결에 원래의 용산지역은 구용산으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지금 용산신학교와 용산성당이 용산의 원터가 어디쯤인지 짐작하게 해주는 이름이라고 하지요. 



'원효로'라 이름붙여진 이유에도 여러가지가 있는데, 통일신라시대에 원효대사가 당나라를 갈 때, 서울을 지나갔다는 기록에서 비롯되었다는 설에 기반하여 (효창공원에 원효대사의 동상이 참 뜸금없이 서있는 이유지요.) 효창원의 의미를 부여하여 결정된 이름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저는 왠지, 원효대사의 이야기가 좀 허무맹랑하게 들려서, 아마도, 이 지역의 일본식 이름인 '원정'과 '효창원'의 만남으로 '원효로'가 되지 않았나 싶은 생각이 듭니다. 성의없는 결정 같기도 합니다. 제강점기 동명을 개정할 때 대부분의 동명이 특별히 옛 지명을 되살리곤 했는데, 원효로는 불분명한 지점에 있습니다.  







'용산'이라는 이름을 갖고 있는 용산신학교와 예수성심성당을 찾아가보았습니다. 

성당은 1902년에 세웠고 명동성당을 세운 코스트 신부의 주도로 세워졌습니다. 성당은 아주 크지도 아주 작지도 않습니다. 규모는 아담하지만 층고가 높아서 종교적인 경건함을 충분히 느낄 수 있습니다. 





신학교는 1892넌에 세워졌는데, 우리나라 최초의 신학교라 하는군요. 신학교는 혜화동으로 옮겨가고 건물에는 <성심기념관>이라는 이름이 붙어있습니다. 수녀원 건물로 사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붉은 벽돌은 묘한 느낌을 줍니다. 시간을 가늠하기기 어려우면서도 흙이 주는 안정감이 있지요. 우리 전통 건축에도 널리 사용되지 않았으나 벽돌의 전통이 있긴 합니다. 언제부터 붉은 벽돌 건물이 생겨났는지, 왜 벽돌집이 널리 사용되지 않았는지, 궁금해집니다. 












성당내부로 들어가봅니다. 마루바닥이 잘 닦여서 기분좋은 느낌을 줍니다. 볕도 환하게 들어 평온하고 느낌을 줍니다. 출입문에는 특별한 의미가 담긴 상징들이 그려져있습니다.


IX JUNII MDCCCXCIX / XIV APRILIS MCM I I 라는 글자가 보입니다. 로마자로 적힌 연도숫자이겠지요. 이 수수께끼를 풀어보자면 (M=1000 D=500 C=100 L=50 X=10 V=5)  1899년 6월 9일과  1911년 4월 14일 두개나 나옵니다. 앞엣것은 용산신학교의 개교일이고 뒤엣것은 교구가 분리된 날이라고 합니다. 김대건 신부와 관련된 날짜와 성인의 기적에 대한 이야기를 담은 상징이 있습니다.수수께기의 상징들은 모종의 메시지같습니다. 어느 집단들만 공유하는 명백한 글자들이 다른 누군가에게는 비밀스런 수수께기가 되기도 하지요. 

 


예수성심성당과 수도원은 성심여중고와 함께 있습니다. 누군가, 카톨릭계 학교답게 규율이 엄격하다는 이야기를 들려주었습니다. 정말 그러한지 궁금합니다. 












학교를 나와 원효로 사거리로 향하는 골목에서 일식 목조가옥을 만났습니다. 주택은 아니고 회사 건물로 사용되는 모양입니다. 내부는 어떤 구조일까요? 시간이 멈춘 듯한 모양새를 하고 있습니다. 이런 건물의 변화를 계속 지켜보고 싶습니다.  














서로 각기 다른 매스와 재료, 색의 건물이 겹쳐지는 거리를 걸어봅니다. 












원효로 일대를 다니면서 우연히 발견한 건물들입니다.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야만 가치있는 건 아닙니다. 독특한 경관을, 도시의 특징과 흐름을 보여주는 모든 건물들이 가치가 있습니다. 디자인이 훌륭하건, 건축적으로 가치가 있건, 그것과 전혀 무관하건, 모든 건물들이 도시를 이루는 요소입니다. 우리는 본능적으로 똑같은 것에 지루함을 느끼고 자그마한 차이에 유쾌함을 느낍니다. 


나는 그 차이를 유심히 바라봅니다. 미세한 차이, 그 미세한 틈에서 뭔가 꿈틀거리는 것을 보게 됩니다.  









원효로에서 꽤 공들여서 세심하게 지은 건물을 보았습니다. 어떻게든 보수하고 쓸 수 있는 건물인데, 지금은 모두 비었습니다. 과연 건물주는 어떤 생각을 갖고 있을까요? 이 건물은 어떻게 될까요? 1년후, 혹은 10년 후, 이 자리는 어떻게 변화될까요?   건물 하나하나의 변화 과정이 도시에 대한 시민들의 의식수준일 것입니다.


 우리사회는 역사가 오래된 건물도 마구 허물고 새 건물 짓기를 아주 좋아하지요. 그 자리에는 때론 거대한 우주모선 같은 것들이 들어오기도 하고, 감각도 없고 어떠한 문화적 고려도 없는 싸구려 임대건물이 세워지기도 하고 다른 나라 다른 도시의 어느 거리에 있는 건물을 그대로 가져온 듯한 것도 생겨납니다. 저는 싸구려 재료로 싸구려 임대건물이 들어오는 게 가장 한심스럽고 슬픈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의미 있는 것을 건축주의 직권으로 없앤다면 그 자리에 그만큼 의미있는 것을 만들 의무가 있는 것 아닐까요? 그런 변화가 이 사회와 시민의 수준을 보여주는 것이니까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