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 장미 넝쿨.
아마도 오늘은 골목에 드리웠던 붉은 넝쿨장미의 꽃잎으로 기억될 것 같습니다. 오래된 담과 보도에 길게 늘어진 꽃들의 그림자로 그 흔적을 남기게 될 것 같습니다. 대전 소제동의 이른바 '관사촌'의 골목길을 조심조심 지나가던 발걸음, 조용히 바라보던 사람들의 모습들. 그 위로 드리워진 붉은 장미들.
오오세 루미꼬 씨와 대전 답사를 했던 것이 딱 일년 전이었습니다. 일년만에 루미꼬 씨가 일본인 지인들과 진행하는 답사를 쫓아 대전에 다시 왔습니다. 이미 한번 닿았던 길은 익숙한 그림자를 만들었고, 무뚝뚝하게 서있는 비늘판벽 건물도 그리 어둡지 않아 보입니다. 오늘은, 그때는 들어가보지 못했던 건물의 내부도 들여다보고, 복잡하기만 했던 소제동 골목길도 인솔자를 따라 우리동네처럼 걸어가볼 것입니다.
루미꼬 씨와 가끔 함께 답사를 가곤합니다. 함께 걷는 그 길에는 많은 부분 공감하고 또 어떤 부분은 의아해하며 미묘한 차이점을 발견합니다. 같거나 다름을 이야기하는 시간이 참 좋습니다. 소제동을 걸으러 간 작년을 떠올리며 루미꼬 씨는 그날도 덩굴에서 장미가 그토록 화사했노라고 이야기합니다. 나는 바짝 긴장해서인지 장미는 전혀 기억나지 않습니다. 그러나, 후텁지근했던 날씨와 시원하게 들이켰던 맥주, 만났던 사람들, 걸었던 길은 고스란히 기억하고 있습니다.
붉은 덩굴장미. 덩굴장미가 그토록 붉었습니다. 그날도, 오늘도.
기록은 기억보다 길다,고 하니, 오늘을 열심히 기록해두어야겠습니다. 루미꼬 씨와 다섯 명의 일본인 친구들이 함께 한 답사. 그들은 대전의 길과 건물을 진지하게 들여다보고 기록했습니다. 서로 걸음을 도와가며 온종일의 일정을 지친 기색 없이 함께 했습니다. 한국문화를 좋아한다는 이토 마사히코 씨는 한국에서 생활한지 벌써 20년이 되었다고 합니다. 대전의 곳곳을 촘촘하게도 기록하고 있노라고 루미꼬상이 덧붙입니다. 본인의 고향인 큐슈쪽에 남아있는 한국의 흔적들을 조사하고 싶다는 토모오카 유키 씨, 한국의 구석구석을 다니며 글을 쓰지만 정작 본업은 웹 디자이너인 마치노 다카히로 씨, 그리고 미쯔오카 에츠코 씨, 천안에서 혼자 오신 후지사와 아츠시 씨. 하는 일은 다르지만 한국의 속살을 보고 싶은 마음으로 모였습니다. 우석대에서 강의를 하고 있는 이토 씨는 대전 근대문화유산 연구자들과 함께 하는 게 어색하지 않을 뿐더러, 자료도 나누고 문서도 해석하는 등 서로 돕는 사이였습니다.
소제동은 "대전 근대 아카이브스 포럼"의 이희준 선생의 안내로 다녔습니다.
작년 루미꼬 씨와 둘이서 골목 구석구석을 돌아다니면서 둘이서 머리 맞대고 자료를 읽어가던 때가 떠오릅니다. 의문을 갖고 서로 질문하고 추리하고 상상하던 시간. 그 시간이 있어서였는지 오늘 그 길은 조금 달라보였습니다. 연구자는 우리의 궁금증을 훌쩍 앞서가며 관사촌의 지리적 변화와 건물 하나하나의 변화의 추이를 이야기해주며 과거의 시간으로 안내합니다.
이내 골목 속에 우리 모두가 그림자처럼 스며듭니다. 시간을 조금 거슬러 가봅니다.
소제동은 충분히 그런 곳이었습니다.
소제동은 철도 관사촌이 넓게 퍼져있는 지역이었습니다. 아름다운 호수였다고 전해지는 소제호가 매립되고 주택지로 건설된 땅이 이곳입니다.
이 지역은 늘 큰 물이 범람하는 지역이었고 물난리를 예방하기 위해 치수사업을 하면서 강줄기의 흐름이 바뀌고 새로운 천이 생겨났습니다. 그것이 대동천입니다. 그 주변에 경부선 철도 건설과 철도 운영을 위해 이주해온 일본인들이 살았던 동네입니다. 이 동네는 철도관사촌입니다. 조사된 바로는 주로 7~8등급의 관사촌이며 드물게 6등급도 있다고 합니다. 이 정도 등급의 관사는 하나의 건물에 두 세대가 대칭으로 구성되는 형태를 취하고 있습니다.
이후 변화된 모습을 보면 각 세대가 따로 집을 수리하고 변화시켜가면서 한 채의 집이지만 양쪽이 서로 다른 변화를 보여줍니다. 놀랍게도 많은 수의 집이 큰 변화없이 보수만 하면서 살아왔다고 합니다. 원래 관사촌은 담장이 없었으나 이 집들이 적산으로 취급되어 개인에게 불하되면서 담을 올렸고 담과 담사이에 적당한 골목이 생겼습니다. 5~60년에 이르는 이 골목은 소제동의 역사와 같습니다. 이제는 대전 그 어디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없는 꼬불꼬불한 골목길이 존재하는 보석같은 동네가 되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지난번 포스팅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http://sweet-workroom.khan.kr/38)
우리는 왜 골목을 좋아할까요? 오래된 동네, 소위 달동네라는 지역을 굳이 찾아가는 이유는 오래된 동네를 거닐때 가장 즐거운 점이 바로 골목입니다. 약간 굽어있고 약간 경사도 있고 길도 조금 울퉁불퉁하고 적당히 좁은 그 길을 따라 대문이 이어지는 것. 때로는 막다른 곳에 이르기도 하고 때론 큰 길로 이어지기도 하는 길들. 이 길들은 왜 우리를 이토록 사로잡는 것일까요?
처음 관사촌에 생겨날 무렵, 국유지 터에 담도 없이 집이 있었을 때는 골목도 없었을 겁니다. 그때 집과 집 사이의 공간은 서양식으로 말하자면 court이고 우리식으로는 마당이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즉, 담이 없다면 골목은 형성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너무 높다란 담도 골목의 분위기를 방해합니다. 주변의 시선으로부터 집 안을 슬쩍 가려주는 정도로 정원수의 잎사귀가 바깥에서도 적당히 보이는 것이 담의 조건입니다.
골목의 폭은 두사람이 느슨하게 나란히 걸을 정도면 충분합니다. 자동차는 골목의 조건에 들어가지 않아야 마땅합니다. 사람의 몸과 키, 사람의 시선의 높이, 사람의 걸음, 팔 넓이.. 이런 것들이 척도가 된 길이 골목입니다. 도로가 차를 척도로 삼았다면 골목은 사람을 척도로 삼은 것이죠.
때로는 꺾여있고 때로는 비스듬히 호를 그리기도 하고 때로는 막다른 길 끝으로 담이 등장하기도 합니다. 집과 집이 서로의 경계를 의식하면서 생겨난 무작위의 담벼락. 휴먼스케일과 무작위의 것들이 만들어낸 집과 집의 틈은 고정되지 않은 풍경을 보여주며 미적 상상력을 이끌어냅니다. 낭만적인 한편, 기괴할 수도 있는 수많은 상상력이 골목에서 탄생합니다.
그것을 시적 상상력이라 해도 될 것입니다.
하지만, 골목에 대한 기억을 떠올려본다면 그것은 상상이 아니라, 염연히 존재했던 기억입니다. 나는 떠올립니다. 그 담에 낙서를 하고, 그 담에서 숨바꼭질을 하고, 그 골목에서 돌맞추기(시마치기)와 고무줄뛰기를 하던 기억. 그 골목과 담에 의자와 평상을 붙여두고 사람들이 모여앉아 이야기를 나눴지요. 가을이면 빨간 고추가 햇볕에 잘 말라가고, 겨울이면 눈사람도 하나쯤 세워져있던 그 골목. 땅과 하늘이 조각보처럼 보이던 순간들도 기억이 납니다. 그 골목은 다 어디로 가버린 걸까요?
그 밤에 가로등 아래에서는 옆집 언니 오빠가 서성거리는 모습을 들키기도 하고, 누가 바래다주고 얼른 뒤돌아가기도 하고.. 그랬던 순간들. 골목이 좋은 건, 그런 이야기들 때문이겠지요. 철지난 느와르 영화에서나 보게 되는 오래된 골목길이, 지금도 누군가에게는 현재의 삶의 공간으로서 그런 기억들을 만들어주고 있겠지요.
한지붕 두 가족의 극렬한 대비. 하나의 지붕 아래 앞엣집은 옛모습이 거의 변하지 않은데 비해
그 옆집은 슬라브 양옥과 유사한 모습으로 바뀌었습니다.
많은 집들이 두 세대가 각기 다른 모양의 집을 하고 있지만 이 집이 유난히 대비되는 풍경을 보여주더군요.
공기창 아래에 번호가 붙여져 있습니다. 제 53호와 같은 글자들이 자신의 존재를 드러냅니다.
관사들도 시대에 따라 조금씩 변화됩니다. 이 집은 다소 오래된 것으로 보이는데,
20년대 이전에 지어진 것은 비늘판벽을 하고 있고 30년대의 집은
시멘트로 마감되어 있습니다. 화장실 동선도 변화가 있습니다.
대부분 집으로 들어가는 입구는 북쪽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지붕을 보수할 때도 두 집이 다릅니다. 상황에 따라 오랫동안 변화해온 흔적들이
남아있는 집들.
쪽창에서 무엇이 보일까요? 나는 금세 쪽창 안에서 몸을 웅크리고 앉아
바깥을 보는 상상을 합니다. 이 골목길의 집들의 지붕선이 옹기종기
어울려있는 것이 보이겠지요. 길을 따라 사람들이 시냇물처럼 흐르는 것도 보이겠지요.
나무전봇대가 그대로 남아있는 것도 흥미롭습니다. 이희준 선생은 이 나무전봇대도
문화재급이라고 강력하게 의견을 피력합니다.
집은 도로가 나거나 다른 집이 생겨나는 통에 하나가 헐려나가기도 했습니다.
그렇게 남은 흔적을 볼 수 있습니다.
관사 내부로 들어가보았습니다. 좁고 낮은 문으로 들어서면 부엌이 있고 두개의 방이 나옵니다.
그리고 허리를 펴지 못하는 낮은 다락도 있습니다. 80% 비례로 축소한 듯한
작은 공간에 서니 왠지 거인 걸리버가 된 것 같은 기분도 듭니다.
게다가 저는 보통의 여인들보다 키가 훨씬 큰 편이기도 하고요.
대동천을 살펴봅니다. 대동천 너머 동네에 송시열 고택이 남아있다고 합니다.
다음에는 그곳에 꼭 가보아야겠습니다.
소제동 골목에서 한참을 헤맸습니다. 낯선 시간으로 훌쩍 들어가 정신없이 걷다가 나왔는데, 두 시간이 지났을 뿐입니다. 왠지 시간의 축이 흔들린 듯한 요상한 시공 속에 있었나 생각해봅니다. 골목을 걸었던 사람들과 골목에서 만났던 대전 사람들과 골목에 각인된 듯한 소제동 거주민들과 그곳을 화사하게 물들였던 나무의 푸르디푸른 잎사귀와 장미의 붉은 꽃잎들.
인간이란 서로 다르지 않다고 말하면서도 서로의 행동반경이 다른 이유로 비껴가기만 했던 사람들이 골목에서 만납니다.
그래서 골목이 좋은가 봅니다.
'근대문화유산을 찾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낯선 낙원의 언저리에서- 종로 낙원상가 (0) | 2014.07.28 |
---|---|
아회하는 즐거움. 고희동 가옥 (0) | 2014.06.10 |
조각가 권진규의 이타카 (0) | 2014.05.12 |
건축가를 위한 최초의 박물관- 안양 김중업박물관 (3) | 2014.04.17 |
<아파트 인생>에서 발견한 다섯가지 이야기 (0) | 2014.04.13 |